먼저 영어의 Emit는 무언가를 ‘내뿜다’, ‘방사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Sketchy Physics의 UI에 있는 Properties 탭에 Emitter 옵션이 있으며,
이 옵션을 선택한 물체 Object는 자신과 똑같은 자기 자신을 복사하여 방사 Emit는 하게 됩니다.
그림과 같이 방사체 Emitter 옵션에는 강도 Strength, 수명 lifetime, 방사율 Rate이 있으며,
각 속성에 대해서는 방사체 Emitter를 실제로 본 후 역할과 기능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방사체 Emitter로 설정한 물체 Object는 똑같은 물체 Object가 속성에서 설정한 바와 같이 생성됩니다.
방사체 Emitte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물체 Object를 생성합니다. 그 다음 Emitter 옵션을 선택합니다.
방사체 Emitter 속성 Property를 선택한 후에 시뮬레이션을 하여도 방사체 Emitter의 기능을 하지 않습니다.
강도 Strength, 수명 Lifetime, 방사율 Rate를 알맞게 설정해야 방사체 Emitter로써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강도 Strength : 영어 단어 자체의 해석은 ‘강도’이지만 방사체 Emitter의 경우 복사된 물체 Object가 방사되는 강도를 의미합니다.
즉, 강도 Strength 값이 클수록 복사된 방사체 방사 속도가 커집니다.
이 값이 0이면 방사체 Emitter에서 방사되는 물체는 방사되어 어느 곳으로 날아가지 않고 제자리에서 생성되게 됩니다.
수명 Lifetime : 이 옵션은 복사되어 나온 방사체의 수명을 뜻하며 이 값은 시뮬레이션 시 프레임frame을 뜻합니다.
즉, 방사체 Emitter에서 복사되어 나온 방사 물체가 방사되어 나온 프레임 frame에서 설정한 프레임 frame만큼 후에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 옵션을 0으로 설정할 시 복사된 물체는 사라지지 않게 됩니다. 즉, 수명이 무한이 됩니다.
방사율 Rate : 방사체 Emitter를 설정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 입니다.
이 옵션은 복사된 방사체가 프레임 frame에 따라 얼마나 빠르게 나올지를 결정합니다.
즉, 이 옵션 값을 20으로 설정할 때 매 20 프레임 frame마다 복사된 물체를 방사하게 됩니다.
따라서 다음 그림과 같이 설정한 후 시뮬레이션 하면
강도 Strength : 60
수명 Lifetime : 200
방사율 Rate : 10
다음과 같이 방사체 Emitter 기능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복사되어 방사되는 물체 Object들도 SP에서 물체 Object로 인식하므로 방사체 Emitter 원본과 복사된 물체 Object끼리 영향을 주게됩니다.
따라서 서로 부딪히는 과정에서 방사체 Emitter 원본이 움직이는데 이 원본 방사체 Emitter의 상태 State를 Static으로 설정하면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와 같이 방사체 Emitter 기능을 하는 물체 Object를 생성했을 때 복사되어 방사되는 물체 Object는 위를 향하여 방사되는데,
이는 원본 방사체 Emitter의 그룹 내 축 방향을 바꾸어주면 원하는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원본 방사체 Emitter 내의 축 방향 중 파란축인 Y축의 방향을 바꾸어주면
복사되어 방사되는 물체 Object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또는 단순히 물체 Object를 회전 시켜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