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파일은 ../src/common/mmo.h에 위치해 있으며 꽤나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적당한 문서 편집기(메모장 등의 기본적인 편집기도 괜찮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로 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밍용 편집기를 권장합니다.)를 이용하여 열어봅니다.

(저와 같은 경우 주로 notepad를 이용합니다.)
처음의 파일은 Hercules의 mmo.h이며 다름은 rAthena의 mmo.h 입니다. 더 이상의 설명은 하지 않고 힌트만 남겨놓겠습니다.


6. 서버 주요 설정하기에서 보았던
conf 파일을 열어보면 굉장히 복잡하고 여러 파일이 있기 때문에 잘 알고 있더라도 설정하기 쉽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테스트를 하거나 새로 컴파일해서 구동할 경우 매번 설정을 바꿔야 하는 귀찮은 일이 발생하기 때문에
import 폴더에 자신이 변경할 설정값만 수정해 놓고 사용하는 편한 방법이 있습니다. conf 파일을 바꾸지 않고
import 폴더의 txt 파일에 필요한 설정값만 편집해 넣어서 서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각 conf 파일들을 열어보면 가장 아랫부분에 import: 가 있는데 이 부분이 외부의 설정값을 불러오는 부분이 됩니다.

따라서 conf 파일을 직접 수정하지 않고 import 폴더 안의 txt 파일에 필요한 설정값만
자신이 원하는
값을 넣어 놓으면 매번 conf 파일을 수정하지 않고도 설정값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반드시 수정해야 하는 conf 파일의 설정값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import 파일 내의 필요한 파일에 원하는 설정값만 넣어놓으면 conf 파일은 따로 수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즉, 자신이 설정한 설정값을 새로 컴파일한 서버 등에 쉽게 import 폴더만
복사/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서버가 구동 중일 때는 다음과 같이 도스창이 열려있게 되는데,
도스창을
사용한 적이 없거나 잘모른다면 도스창의 X 버튼을 눌러 그냥 꺼버리게 되는데 이는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구동된 서버를 종료할 때는 도스창이 활성화 되어있을 때 ctrl + c (컨트롤키 + ㅊ)를 누르면 서버를 종료하기 시작합니다.

이 때 일괄 작업을 끝내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가 나왔을 때 y 또는 yes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눌러주면 완전히 서버가 종료되고 도스창만 남게됩니다.
이 때는 X 버튼을 눌러 꺼주어도 되고, 도스 명령어인 exit 를 입력하여 종료해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