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전달 4-91.docx
열전달 HEAT AND MASS TRANSFER 4th Edition SI Unit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YUNUS A. CENGEL
-AFSHIN J. GHAJAR
-유성연, 김경훈, 김병철, 김창녕, 이종붕, 조형희 공역
McGraw-Hill
문제 4-91
가정: 핫도그가 유한 길이의 원통 또는 무한 길이의 원통으로 가정할 때 축 방향과 반경 방향으로의 2차원 열전도가 일어난다.
따라서 핫도그의 온도는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의 2차원으로 변한다.
핫도그의 물성치와 열전달계수는 일정하고 균일하다.
풀이: (a) 핫도그를 유한 길이의 원통으로 가정할 때 반두께 6cm의 무한 평판과
반지름 1cm의 무한 길이 원통에 대한 해를 product solution을 이용하여 중심 온도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유한 길이의 원통으로 가정한 핫도그의 온도분포는 다음과 같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E304B570B46F006)
이때 무한 평판과 무한 길이 원통 대한 비오트 수(Biot Number) Bi는 다음과 같고,
Bi수에 따른 판형, 원통형 비정상 1차원 열전도의 단항 근사해법(one term approximation) 계수의 값을 표 TABLE 4-2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AAC49570B46FF25)
이때 각 시간에 따른 무한 평판의 푸리에 수(Fourier Number) τ는 다음과 같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6664B570B472B1C)
|
5분 |
10분 |
15분 |
τplate |
0.0166 |
0.0332 |
0.0498 |
푸리에 수(Fourier Number) τ가 0.2보다 작으므로 단항 근사해법(one term approximation)의 결과를 신뢰하기 힘들다.
오차를 감안하고 무한 평판의 각 시간에 따른 중앙면의 온도분포 식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4EA4B570B47390E)
각 시간에 따른 무한 길이 원통의 푸리에 수(Fourier Number) τ는 다음과 같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3AC50570B474C09)
|
5분 |
10분 |
15분 |
τcyl |
0.597 |
1.194 |
1.791 |
푸리에 수(Fourier Number) τ가 0.2보다 크기 때문에 단항 근사해법(one term approxim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한 길이 원통의 각 시간에 따른 중앙의 온도분포 식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34448570B47A60E)
따라서 유한 원통으로 가정한 핫도그의 각 시간에 대한 중심 온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2D54A570B47BB02)
5분 후 중심온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20D74E570B478A2C)
10분 후 중심온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C8D49570B477D26)
15분 후 중심온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D9950570B47703C)
(b) 핫도그를 무한 길이 원통으로 가정하면
위에서 계산에서 이용한 무한 평판의 무차원 온도에 대한 해를 고려하지 않으면 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5분 후 중심온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C1249570B48BD0F)
10분 후 중심온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2E5748570B48AE0E)
15분 후 중심온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7A74B570B48D408)
계산 결과 두 가정 및 결과값의 차가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