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터빈의 원리와 연소 - 연소공학.hwp


 

1. 가스터빈의 원리

1.1 가스터빈 엔진의 원리

1.2 가스터빈 기관의 종류


2. 사용원료


3. 연소이론


4. 문제점


5. 개선방향

5.1 가스터빈의 효율을 증가 시키는 방법

5.2 냉각법

5.3 원초적 재료의 교체

Posted by 귀여운촌아
:


유체역학 발표자료.pptx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압력용기 내의 물질 질량을 알아내는 과정입니다.


조건 -   압력용기 내의 계기압력과 대기압력을 알고 있다.

용기 내에 들어있는 물질의 종류를 알고 있다.

대기 온도와 압력용기의 내체적을 알고 있다.

용기에서 방출되는 물질의 상태는 기체상태이다.


가정 -    압력 용기 내의 온도는 대기 온도와 같다.

용기에 전달되는 에너지는 없다.

용기 내에서 방출되는 물질의 상태는 기체상태이므로 용기 내의 물질의 상태도 단일 기체이다.


풀이 -   용기 내의 물질 

압력용기 내의 절대압력 

물질의 온도 

물질의 체적 

물질의 기체상수 


즉, 위와 같이 주어졌을 때 용기 내의 물질 상태를 기체로 가정하였으므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한다.

단, 압력 용기 내는 압력이 높으므로 (절대 압력이 주어져 있음)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의 수정계수로써

압축성 인자 값인 압축성 인자 를 이용한다.

또한 처음의 가정이 올바른지 알아보아야 한다. 따라서 압축성 인자를 구한다.


압축성 인자 는 환산온도와 환산압력을 이용하여 구한다.

먼저 용기 내의 물질을 알고 있으므로 물질 의 임계온도 와 임계압력 을 이용하여

환산온도 와 환산압력 을 구한다.


위의 환산온도 와 환산압력 을 이용하여 압축성 인자 도표에서 압축성 인자  값을 구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해 압축성 인자  값이 존재 하지 않는데, 이는 이 물질이 해당 온도와 압력에서 단일 기체상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내의 물질은 액체 또는 고체에 기체상태가 공존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가정 -    용기 내의 물질의 상태는 액체와 기체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추가 - 물질의 온도와 압력이 주어져 있으므로 상태량 표를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를 이미 알 수 있다.)

 

풀이 -    용기 내의 물질의 상태는 포화액-증기 상태이므로 표를 이용하여 용기 내 물질의 질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해당 물질의 상태량 표와 용기 내의 체적 , 포화액과 포화 증기의 비율인 건도 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압력 용기 내부의 정보를 알아내야 한다.

 

가정 -    압력용기는 바닥과 윗 부분이 납작한 원통형으로 가정한다.

액체상태의 물질은 비압축성 물질이다.

 

풀이 -    위와 같이 가정하고

액체 상태 물질의 밀도

기체 상태 물질의 밀도  (상태량 표를 이용하면 비체적을 밀도로 바꿀 수 있다.)

중력 가속도

압력 용기의 높이  (압력용기의 체적을 알고 있으므로)라 할 때,


압력용기의 압력계가 달려있는 윗 부분을 아래쪽으로 오도록 압력용기를

뒤집는다. 즉, 액체 상태의 물질의 무게를 압력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정리하면, 용기 내부의 물질의 양에 대해서 알 수 없기 때문에 압력 용기를 뒤집어서 압력계의 계기가 증가하는 양을

측정한다. 이로써 용기 내의 물질의 무게에 의해 압력계에는 압력이 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용기 내 물질의 전체 무게는 다음과 같고,

위 식에 용기의 단면적을 나누어 주면

정리하면

이다. 즉, 압력 용기 내에서 액체 및 기체상태의 물질이 차지하는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압력용기의 단면적을 알고 있고, 액체 및 기체상태의 물질이 차지하는 높이를 알고 있으므로

각 상태의 물질의 부피를 구하고 밀도를 이용하여 압력용기 내부의 질량을 알아 낼 수 있다.


추가 - 액체상태와 기체상태의 물질이 차지하는 높이를 이용하여 건도 를 구할 수도 있다.


Posted by 귀여운촌아
:


CNC_정의.hwp


1. CNC의 정의

1.1 NC란

1.2 CNC란


2.CNC의 구조


g코드.hwp


G코드

-G 코드 지령 및 기능




실험예비보고서.hwp


1. NC, CNC란?

1.1 NC : 수치제어 장치란?

1.2 CNC : 컴퓨터 수치제어 장치란?

2. CNC 선반의 구조

2.1 주축대 (head stock)

2.2 척 (chuck)

2.3 공구대

2.4 심압대 (tail stock)

2.5 조작판

2.6 베드 (bed)

2.7 왕복대와 이속기구

2.8 서보모터 (servo motor)

3. G코드

3.1 ONE Shot G 코드

3.2 Modal G 코드

3.3 M 코드



기타 참고 자료


cnc 예비.hwp


cnc구조.hwp


cnc선반 레포트.hwp



Posted by 귀여운촌아
:

국내 윤리경영 사례와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


1. 윤리경영이란?

2. 국내 윤리경영 사례

3.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



경영학 원론 - 윤리경영.hwp


Posted by 귀여운촌아
:

디마케팅


1. 디마케팅

2. 디마케팅의 정의

3. 디마케팅의 사례

3.1 SK VIEW

3.2 벽산건설 아스타

3.3 전원주택 노블힐스

3.4 LG전자의 71인치 PDP TV 귀족마케팅

3.5 현대백화점



경영학 원론 - 디마케팅.hwp


Posted by 귀여운촌아
:

구글 스케치업에서 모델을 바라보는 시점을 설정하고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요약 설명

모델을 바라볼 시점과 시점이 이동할 동선을 레이어를 추가하여 그려줍니다.

두 점을 드래그 하여 시점을 설정하고 각각의 시점마다 애니메이션 장면을 추가합니다.

시점이 이동하는 동선을 보이지 않도록 레이어를 설정하고 장면 업데이트를 합니다.

내보내기를 이용하여 영상으로 애니메이션을 출력합니다.

Posted by 귀여운촌아
:

구글 스케치업의 사진 일치 기능을 이용하여 2D 이미지로 부터 3D 모델링을 하는 방법입니다.



-추가 설명-

사진 일치 기능은 직선 축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할 이미지는 왜곡이 되지 않아야 합니다.

사진의 해상도가 높아 축 일치를 정확하게 할 수록 정확한 모델링이 됩니다.

마지막에 보시는 것과 같이 사진 일치에 사용한 이미지를 모델링에 입힐 수 있고,

정확한 모델링을 위해서 4면 혹은 6면(좌우, 앞뒤, 위아래)가 있는 사진을 이용하면 2D 이미지만을

이용하여 3D 모델링을 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을 예로 든다면, 구글 스트릿 뷰 등을 이용하여 실제 건축물을 보다 쉽게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스케치업에 이러한 기능이 아예 탑재되어 있지요...


-참고

위의 모델은 경북 구미의 금오공과대학교 건물 중 테크노관 전면 모습입니다.

'기타 > Some 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king Animation with SketchUp  (0) 2013.10.16
Light On VODTA (with SketchUp & V-Ray)  (0) 2013.10.10
VODTA LOGO 2D to 3D 모델링 2 of 2  (0) 2013.09.27
VODTA LOGO 2D to 3D 모델링 1 of 2  (0) 2013.09.27
VODTA 크루 로고 3D 디자인  (0) 2013.09.27
Posted by 귀여운촌아
:


스케치업으로 모델링한 디자인에

브이레이를 이용한 효과를 영상으로 제작하였습니다.

Posted by 귀여운촌아
:

풍동실험의 예비보고서 입니다. 참고한 부분에 대한 출처를 남겨놓았습니다.


내용


풍동

1. 풍동(wind tunnel)이란?

2. 풍동의 목적

3. 풍동의 종류


피토 튜브

4. 피토 튜브(Pitot tube)란?

5. 피토 튜브의 구조 및 원리

6. 피토 튜브의 특징



풍동실험 - 예비.hwp


Posted by 귀여운촌아
:

기계공학설계에 설계하고 만든 스터링 엔진





설계 때 만들었던 카티아 파일입니다.


stirling engine CATIA.zip


Posted by 귀여운촌아
: